Search

'바다'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07.26 풍수얘기도 좀 해달라는 분들이 많으셔서...

부산분들에게 바다가 보이는 집으로 이사가려는데 어떠냐는 질문도 많이 받고, 서울 분들에겐 큰 물 옆에 살아야 한다는데 강변으로 이사가는게 어떠냐는 질문도 많이 받는다. 그럴때면 하는 답이 있다. 바닷가나 강가에 누가 땅 사둔걸 팔려나 봅니다.

 

필자가 작정하고 출장 다닐 땐 한해에 6만킬로 정도를 주행한다. 대부분 고속도로를 이용하지만 낮에 운전할 일이 있으면 안가본 길을 가보는 걸 좋아해서 일부러 국도, 군도를 가리지 않고 구석구석을 헤메이며 다닌다. 그럴 때마다 신기함에 감탄하는게 어떻게 산 중턱에 마을이나 집들이 저리 많을까 하는 점이다. 누가 봐도 평지가 살기 좋았을텐데 옛분들은 산중턱에 집을 짓고 살았다. 왜일까?

 

옛날 중국의 대부호나 우리나라의 만석군들 집을 보면 공통된 특징이 있다. 물에서 멀다는 점이다. 마찬가지로 궁들도 모두 큰 강이나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이건 어찌보면 너무나 상식적인 이야기다. 자연재해의 최고봉으로 치는 홍수같은 수해를 입지 않기 위해 물과 멀리 떨어지게 집을 짓고 산 것이다. 그리고 건강 면에서도 물가는 습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여자분들이 가지고 있는 냉증을 악화시킨다. 그리고 노인들은 호흡기가 약하기 때문에 안개가 자주 끼이고 습한 날씨에서는 기관지 질환을 많이 앓게 된다.

 

풍수이론으로 봐도 맞지 않다. 배산임수란 가장 기본적인 풍수이론으로 봐도 산을 깔고 앉은 자리에서 멀리 물을 내려다 보는 지형을 가장 좋다고 말한다. 그런데 왜 갑자기 강가나 바닷가가 최고의 명당자리가 된 걸까? 부산을 보면 바닷가에 아파트들이 즐비하게 들어서 있다. 이 아파트가 생기고 대박을 친 업종이 있는게 바로 세탁소라고 한다. 집이 너무 습하기 때문에 장농에 걸어둔 옷에서 곰팡이가 필 정도라 무조건 드라이크리닝을 해야해서 그렇단다. 최근 제습기가 유행하는 것도 집을 짓기에 적합하지 않은 습한 지역에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서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든다.

 

사람들은 풍수를 얘기할 때 방향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지금 집에서 어느방향으로 이사해야 좋냐는 것이다. 그리고 창문이나 출입문의 방향이 어때야 하나를 또 묻는다. 하지만 필자는 그런게 중요하지 않다고 말한다. 이유는 도시는 그런 것이 정말 중요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풍수의 시작은 집이나 묘자리 쓰는데가 아니고 나라의 수도를 정하는데서 출발했다. 어디에 도읍을 정해야 하는가가 풍수의 시작이란 말이다. 실제로 옛날엔 항상 전쟁에 대비해야했기 때문에 수도를 정하거나 바꿀 때 풍수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삼국지를 보면 수많은 나라가 생겨나고 수도를 옮기는 천도를 할 때마다 풍수에 관한 얘기가 나온다. 그 조건은 농사지을 땅이 풍족해야하고 외세의 침략이 용의하지 않아야하며 쉽게 성을 쌓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풍수라는 건 성을 쌓을 정도의 사이즈를 가진 마을이나 도시를 정할 때나 필요한 것이지 개인의 집, 특히나 아파트나 빌라에선 거의 필요없다는 말이다. 다만 누구나가 선호하는 남향이 빨래는 잘 마르고 햇볕이 들어 낮에 습한 기운을 없애주니깐 좋다는 정도면 족하다. 반면에 빨래가 필요없는 사무실 방향은 오히려 햇볕이 들지않는 북향이 더 낫다. 일단 값이 싸고 한겨울에 몇달 난방하는 것만 빼면 시원한게 일하는데 더 나아서다. 실제로 최근 짓는 대형 아파트들을 보면 남향은 주거위주, 북향은 오피스위주로 지어서 분양하고 있다.

 

대박 맛집들은 풍수와 방향때문에 됐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그것도 따져보면 웃기는 얘기가 되어버린다. 오래된 맛집의 시작은 대부분 먹고살기 힘들어서 였다. 그래서 가장 임대료가 저렴하거나 살고 있는 집에서 최저의 비용으로 시작한 집들이다. 그런데 이런 집들을 보고 어떻게 이런 위치 이런 구조의 집들이 대박을 칠 수 있었을까를 분석하고 앉아있다. 그건 말이다. 그렇게 싸게 시작한 집이 비싸게 음식 값을 못받으니 싸고 맛있는 음식을 찾아 발품파는 사람들이 모여들어서지 풍수 때문이 아닌거다. 다 사장님의 손맛 덕분인 것이다.

 

사람들은 현재 나와있는 결과를 가지고 원인을 찾는데 익숙하다. 이건 물리학의 기본적인 추론방식과도 동일하다. 바른 방식이란 말이다. 하지만 차이가 있다면 물리학은 증명하지 못하는 부분을 상수라는 인자를 둬서 오류의 여지를 남겨두는 반면에 사람들은 증명되지 않으면 오류를 없애기 위해 더 증명되지 않은 사실들로 끼워맞추기를 시도한다. 왜 저 집이 대박집이 되었을까를 생각하면서 풍수를 은근슬쩍 끼워넣고, 왜 저집에서 인물이 났을까를 생각하면서 또 풍수를 끼워넣는다. 한나라의 수도를 정하던 풍수가 깍뚜기가 되어 버린 것이다.

 

묘자리 얘기도 간단히 해보면... 하나도 중요하지 않다.ㅎ

 

 

 

인컨설팅 역학연구소    이동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