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멘터리 6부작 시험이란 프로그램을 흥미있게 봤다. 특히 흥미있는 부분은 2부에서 나온 시험을 잘치는 유전자에 관한 내용과 시험을 치는 요령이 있다는 부분, 그리고 부모의 재산, 즉 돈이 시험결과를 좌우한다는 부분이다. 이건 필자가 평소에 학업운을 풀이하는 부분과 너무 비슷해서 자세히 설명을 드리려고 한다. 이 부분을 잘 안다면 자녀의 교육에 많은 도움이 되실 거다.

 

일단 설명을 들으시려면 사주 인자에 대한 기초지식을 좀 필요로 한다.

 

공부를 잘하는 인자는 인성이라는 인자다. 정인과 편인이 그것인데, 정인은 정해진 공부, 짧은 공부를 말하고, 편인은 정해지지 않은 공부, 고시같은 긴 공부, 익힐수록 급이 올라가는 기술, 기능 등을 말한다. 어쨌든 인성이 많으면 공부를 잘하는 경우가 많다. 경우가 많다고 말한 이유는 다른 인자에 의해서 공부 이외에 기술이나 예술 등 다른 것에 관심이 더 많아지면 공부는 뒷전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부도 잘하고 시험도 공부한 만큼 치는 인자다. 자기 실력은 발휘하는 인자가 인성인 것이다.

 

하지만 시험을 잘치는 인자는 따로 있다. 그 인자는 관성이다. 관성은 정관과 편관으로 나뉘는데, 관은 본래 학교나 직장으로 본다. 이 관이 시험을 잘 치는 이유는 관성을 가진 사람이 가지는 남다른 특성 때문이다. 일단 관성이 있는 사람은 기본적인 대인관계에 능하다. 관성은 시스템이라고도 하는데, 관성이 강한 사람은 어디에서나 그 시스템을 잘 파악하기 때문에 적응력이 남다르다. 그 적응력은 시험에서도 마찬가지다. 시험문제가 출제되는 시스템과 패턴을 잘 파악하기 때문에 공부의 깊이는 모르겠지만 어떤 문제가 어떤 유형으로 출제될 것인지를 잘 파악하니 시험을 잘 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사주에 관이 제대로 들어 있는 사람은 시험으로 가는 학교와 직장이나 시험쳐서 들어가는 직업을 권는 것이다. 하지만 관이 튼실하게 들었다고 무조건 고시공부를 하라는 건 한사람의 인생을 망칠 수도 있는 일이니 주의를 요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사주인자는 재성다. 즉 돈이다. 재성에는 편재와 정재가 있는데, 편재는 큰 재산, 꿈, 이상, 미래 등이고, 정재는 현금 재산, 현실, 목표, 계획을 말한다. 거창하게 들리지만 학생에게 있어서 재성은 학교 공부를 망치는 주범이다. 학생이 재가 많으면 정해진 공부인 학교 공부는 시시하단 이유로 하기 싫어한다. 역사, 철학, 종교, 경제, 우주, 자동차, 연예, 예술 등 학교 공부 이외의 것에만 관심을 두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성은 꿈을 가지고 목표를 세워서 그것을 달성하는 힘이기도 하기 때문에 재성이 강한 학생이 목표를 명문대나 좋은 직업으로 삼으로 합격할 확률이 아주 높다.

 

이제 다큐 시험 2부의 내용으로 가보자. 대만사범대학 교수 창춘옌은 유전적 요인이 시험성적을 좌우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800명에 가까운 중학생을 대상으로 유전자 검사결과와 시험성적을 비교했다고 한다. 그 결과 전사형, 중간형, 걱정쟁이형 유전자가 존재함을 알아냈다고 한다. 전사형은 무던하게 자기가 공부한 만큼 시험을 쳤고, 중간형은 큰 특징없이 시험을 치는 형이었고, 걱정쟁이형은 환경변화에 따라 성적이 들쑥날쑥하기 때문에 시험을 제대로 못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상 교육환경이나 생활 내에서는 오히려 이 걱정쟁이형이 사고능력, 대화능력 등의 면에서 더 우수하고 행동도 그렇다고 한다. 그러니 시험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달라지는 것이지 실제 실력과는 아무 상관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다큐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들어가게 되는데, 그것은 유전적 요인을 뛰어넘어 시험을 잘치기 위한 조건은 시험자체를 얼마만큼 잘 분석해서 치는가 이고, 충분한 분석과 준비과정을 알려줄 수 있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면 시험을 더 잘 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충분한 분석과 준비를 위해서는 사교육이 필요하고, 그 사교육은 부모의 경제력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서 받을 수 있고 없고가 결정나고 교육의 질이 결정나므로, 시험결과는 집이 부자인 아이들, 즉 돈에 의해서 결정날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린다.

 

위에서 말한 저 부분이 어떻게 사주와 연결되는지 궁금할 것이다. 실제로 현상에서 분석해보면 전사형, 중간형, 걱정쟁이형을 구분하는 사주용어는 인성, 관성, 재성이다. 인성이 많으면 왠만해서는 흔들리지 않는 전사형일 가능성이 높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시험을 잘치며 자신이 공부한 만큼의 성적을 낸다. 관성이 많으면 중간형으로 항상 준비한 것보다 시험을 잘봐서 시험에 강하다는 소리를 듣고 산다. 재성이 많은 걱정쟁이형들은 준비 유무에 따라서 성적이 들죽날죽하게 된다. 그래서 실력보다 시험을 못친다는 말을 듣는다. 그래서 사주에 재가 많거나 대운에서 재가 들어오면 공부를 안다고 해석해 왔다. 그런데 요즈음 재성을 가진 아이들, 특히 재성으로 가득한 아이들이 오히려 공부도 더 잘하고 시험도 더 잘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수능성적 3000등 이내에 들어야 갈 수 있는 의대에 입학하는 학생들 대부분이 과거와 다르게 재가 많은 학생들이다. 특히 부모가 부자인 서울 강남권 아이들은 재가 가득하지만 학교성적도 잘나오고 시험도 잘 친다. 부모의 돈으로 사교육을 통해 대학입학 수학능력시험에 적극 대비할 수 있기 때문에 나온 결과이다. 그래서 똑같은 재가 많은 사주라도 부모의 재력에 따라 공부를 잘할 수도, 못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EBS 다큐 시험에서는 시험을 잘치는 유전자가 있다는 결론 외에, 그 유전자를 뛰어넘는 건 돈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하지만 사주명리학으로는 이 결론을 부정하진 않지만 돈을 뛰어 넘는 시험결과를 잘 나오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그 방법은 이러하다. 학생 사주에 인이 많다면 전사형 유전자를 가졌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일단 공부량을 늘이는데 집중해야 한다. 이유는 공부한 만큼 시험을 잘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사주에 관이 많다면 중간형 유전자를 가졌을 가능성이 많은 학생으로 시험의 문제유형을 잘 파악하므로 깊이있는 공부보단 문제를 잘 풀 수 있는 공부에 집중해야하며, 소신지원을 해도 합격할 가능성이 높다. 사주에 재가 많다면 다큐 프로그램의 결론 처럼 부모의 돈이 시험성적을 좌우할 수도 있겠지만, 사주명리학에선 부모의 돈이 없는 경우에도 공부를 잘하고 시험을 잘 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그 방법은 사주에서 재성은 목표이므로 그 학생이 현재 실현 가능한 목표를 부모와의 대화를 통해 세우게 하고 실천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그 목표를 이룰 수 있는 대학의 전공을 알려주고 그 전공 과에 들어가기 위한 성적을 알려줘서 그 성적에 도달할 수 있는 공부계획을 세워줘야 한다. 이 때 목표가 현실적이어야 하는 이유는 현실성이 없다면 재성이 강한 아이는 두뇌회전이 빠르기 때문에 자신이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려 버리고 아예 학교 공부와는 담을 쌓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성 있는 목표를 세우게 되면 그 목표를 달성한 후에 자신이 알아서 목표를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 재성이 많은 아이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므로 사교육이 없이도 공부를 잘 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실제 시험을 칠 때 많이 떨기 때문에 실제 시험에 가까운 환경을 구현해서 문제 푸는 연습을 충분히 반복해서 트레이닝 한다면 시험을 잘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원하는 좋은 결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인컨설팅 역학연구소   이동헌